경혈도인법의 위치와 효과

 

 

1. 백회(百會)(독맥(督脈) 20번째 혈)

 

가. 위치

 

   (1) 신체내의 여러 경맥이 모이고 합쳐지는 곳.

   (2) 머리의 정중앙선과 양쪽 귀 윗부분을 연결한 선과의 교차점.

 

나. 치료 효과

 

   (1) 두통, 신경쇠약, 정신병, 저혈압, 고혈압을 치료한다.

   (2) 자궁탈수와 탈항에 효과가 있다.

   (3) 경맥이 모이는 곳이라 하여 수련에 있어서 제일 중요시하는 경혈이다.

 

2.상성(上星)(독맥경의 23번째 혈)

 

가. 위치

 

   (1)‘밝은 빛을 내는 별‘의 뜻

   (2) 앞머리 나는 부분[전발제]에서 중앙선 위로 1치 되는 곳, 신생아의 숨골부위.

 

나. 효과

 

   (1) 감기로 인한 코 막힘에 효과가 있다.

   (2) 비염, 정신질환, 눈병, 뇌의 출혈성, 빈혈성, 발열성 등에서 오는 두통에 효과가 있다.

 

3. 객주인(客主人)(족소양담경의 3번째 혈)

가. 위치

   (1) 상관혈(上關穴)이라고도 함.

   (2) 귀와 눈 사이 관골궁 위 우묵한 곳.

 

나. 효과

 

   (1) 입,눈의 와사증, 청맹, 목현, 이명 등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혈이다.

   (2) 두통, 편두통, 현기증, 치신경통, 삼차신경통 등으로 머리가 아프거나 멍하여 기력이 없을 때 객주인혈을 지압하면 통증이 사라지고 맑아진다.

 

4. 정명(睛明)(족태양방광경의 1번째 혈)

가. 위치

 

   (1) ‘눈 주위가 시원하게 소거되어 사물을 분명히 불 수 있게 하는 혈’이라는 뜻.

   (2) 눈의 안쪽 모퉁이, 즉 내안각에서 1푼 위의 약간 움푹 들어간 곳.

 

나. 효과

 

   (1) 시신경과 시력의 기능을 촉진시킨다.

   (2) 결막염, 청광안, 각막염, 누선염 등의 치료에 도움이 된다.

   (3) 녹내장, 백내장, 각막백반, 안면 신경마비 등에 효과가 있다.

   (4) 눈이 피로할 때 자극을 주면 시원해지며 안구의 혈액순환이 좋아진다.

 

5.수구(水溝)(독맥경의 26번째 혈)

가. 위치

 

   (1) ‘독맥의 경수가 흐르는 도랑’, 즉 계곡의 물이라는 뜻으로 인중이라 하며 급소혈, 사혈로     중요한 혈.

   (2) 인중구로 코밑과 입술사이 골이 있는데 코밑에서 3분의 1 되는 곳.

 

나. 효과

 

   (1) 가볍게 자극을 주면 안면신경의 마비가 예방되고 정신이 맑아진다.

   (2) 혼미, 쇼크, 히스테리, 차멀미, 정신병, 급성 복부염좌 등에 효과가 있다.

   (3) 치아와 잇몸이 튼튼해지며 치통을 예방한다.

 

6. 승장(承漿)(임맥경의 24번째 혈)

가. 위치

 

   (1) ‘수액을 아래에서 받는 위치 혈’이라는 뜻.

   (2) 아래 입술과 턱 사이에 움푹 들어간 곳. 눌러서 잇몸의 뿌리를 감지할 수 있는 곳으로 아랫입술 바로 아래 중앙.

 

나. 효과

 

   (1) 안면신경마비, 안면종물, 언어장애, 삼차신경통 등에 효과가 있다.

   (2) 구내염과 치은염을 예방하고 치료를 도와준다.

 

7. 청궁(聽宮)(수태양소장경의 마지막 19번째 혈)

 

 

가. 위치

 

   (1) ‘음성을 똑바로 듣는 장소의 중심부‘라는 뜻.

   (2) 귀 앞면에 구슬처럼 나온 곳을 이주라고 하며, 이주 앞에 움푹 들어간 함요처, 입을 약간 벌리면 들어가는 곳.

 

나. 효과

 

   (1) 난청, 중이염, 이명, 이농, 두통, 현기증, 결막염, 시력감퇴, 기억력 감퇴 등에 효과가 있다.

   (2) 안면의 신경마비, 치통의 예방과 청각 기능 등을 촉진시켜 준다.

 

8. 청회(聽會)(족소양담경의 2번째 혈)

가. 위치

 

   (1) 귀 질환 발생 시 나쁜 기운이 모이는 곳.

   (2) 청궁혈 밑으로 약간 내려가서 귀뿌리가 있는 곳(일명 ‘명주(明珠)’라고 함), 즉 귓밥 바로 위로 귀뿌리가 잡히는 곳.

나. 효과

 

   (1) 이명, 난청, 이농, 치통, 오한, 수족불수 등의 치료에 도움이 된다.

   (2) 감기, 콧병, 목병에 효과가 있다.

   (3) 간염, 담석증, 황달에 효과가 있다.

 

9. 아문(亞門)(독맥경의 15번째 혈)

가. 위치

   

   (1)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목 뒤를 만질 때 움푹 들어간 곳. 후발제의 정중선에서 약7.5mm위로 제 1,2 경추 사이.

 

나. 효과

 

   (1) 언어장애 증상에 특별한 효과가 있다. 반대로 이곳에 충격을 받으면 언어장애를 일으킨다.

   (2) 뇌일혈, 뇌빈혈, 뇌출혈, 중풍후유증에 효과가 있다.

   (3) 뇌졸중 후유증, 동맥경화증 등이 원인이 되어 혀가 굳어지는 증세를 막아준다.

   (4) 만성인후통, 농아, 두통, 신경쇠약, 히스테리 등의 질환에 효과가 있다.

 

10. 완골(完骨)(족소양담경의 12번째 혈)

가. 위치

 

   (1) 귀 뒷면의 유양돌기라는 블룩 나온 뼈 중앙에 있는 함요처.

 

나. 효과

 

   (1) 고혈압, 후두신경통, 기관지염,편도선염 등을 예방하고 개선한다.

   (2) 신경쇠약, 히스테리, 정신질환에 효과가 있다.

   (3) 두부안면의 부종, 두통, 이하선염 등에 효과가 있다.

   (4) 두부에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11. 풍지(風池)(족소양담경의 20번째 혈)

가. 위치

 

   (1) ‘풍의 사기가 이곳으로 들어가 유체되는 곳’으로 중풍과 풍사의 주치료혈.

   (2) 완골혈에서 목 중앙쪽 승모근과 흉쇄돌근 사이에 움푹 들어간 곳.

 

나. 효과

 

   (1) 시력감퇴, 급성 각막염, 설염, 언어장애, 갑상선 비대 등을 예방한다.

   (2) 고혈압, 뇌빈혈, 후두신경통 등을 예방한다.

   (3) 뇌졸중을 예방하는 혈로서 아문혈, 풍지혈과 같이 중요한 경혈이다.

 

12. 천주(天柱)(족태양방광경의 10번째 혈)

가. 위치

 

   (1) ‘하늘을 받치는 기둥’이라는 뜻.

   (2) 아문혈에서 양옆으로 1.3치 되는 곳으로 승모근이 시작되는 곳.

 

나. 효과

 

   (1) 신경쇠약, 히스테리, 정신분열증, 졸도 등에 효과가 있다.

   (2) 고혈압, 저혈압, 견비통, 차멀미 등에 효과가 있다.

   (3) 머리의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다.

by 메렁키키 2014. 6. 2. 2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