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온은 변비,복부비만,무기력을 통한 어깨결림의 원인이다.
암도 원인이 저체온에 있다

3kyY8sUh1smR5EqnOZE0ACuUTkCK6eYjZ6vW5XLC4XU,

 

두통
1.긴장형두통:목이나 어깨가 무겁거나 아프고 근육이 굳었거나 압통을 보이는 경우
가 많아 근육수축성 두통이라고 한다. 또 스트레스나 정신적 긴장이 악화요인으로 작용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심인성 두통이라 부르기도 한다.
머리나 목주변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면 혈액순환이 나빠지고
두통이 유발되는데, 머리가 무겁고 당기거나 조이는 듯한 불쾌감이 있으며
주로 머리 앞쪽과 뒤쪽에 나타난다. 하루 20분이상 지속적으로
스트레칭을 하면 긴장형 두통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2.편두통:한쪽 머리가 아픈 두통 주기성이 있다.
  통즉이 극심해서 일단 두통이 시작되면 일상생활 하기가 힘들다.
  혈관성두통이기에 혈관이 수축되는것처럼 아프기도 하고 맥박이 뛰는것처럼
  쿵쿵뛰면서 통증이 오기도 한다.

 

3.군집형 두통:두통이 떼로 몰려옴. 한번 두통이 시작되면 연이어 통증이 발생
   보통 봄,가을에 한번씩 찾아오는 경우 많다. 한번 시작되면 한달정도
   두통이 지속되고 두달까지 가는경우도 있다.극한의 통증수반.

두통의 원인은 단지 머리의 문제가 아니라 몸의 다른곳에 문제가 생겨
나타날수 있는 질환이다.

스트레스로 심장과 폐를 중심으로한 상초에 화가 쌓이면
열은 우로 올라가 얼굴과 머리쪽으로 몰린다. 머리가 열로 차면
머리가 항상 무겁고 맑지 못하며 멍하고 집중도 안된다.
상초의 열로 인해 머리까지 도달한 열을 빼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백회라는 혈자리에 뜸을 뜨는것이다.

 

중초에 생기는 두통은 소회장애가 원인이다.
두통과 소화장애는 어느쪽이 원인이라고 하기 어려울 만큼 동시에
나타난다. 이런두통을 한의학에서는 담궐두통이라고 한다.

형상적으로 얼굴빛이 누렇고 눈이 쑥 들어간게 특징인다.
이런사람들은 비위, 즉 소화기 계통이 좋지않아 먹은 음식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담음이라는 찌꺼기가 생겨 두통이 올수있다.
이런사람은 항상 음식을 절제해야한다.
담궐두통 환자에게 쓰는 대표적인 처방은 반하백출천마탕 이다.

 

하초가 원인이 되어 생기는 두통은 생식기와 관련된다.
한의학에서 머리를 양두 생식기를 음두라 한다.
양두는 겉으로 드라난 머리,음두는 속에 감추어진 또다른 머리라는뜻으로
둘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머리와 생식기의 관계에서 볼때 머리를
너무쓰면 생식기가 약해진다.

by 메렁키키 2013. 1. 11. 14:42